먼저 용어 약자 표기하고 밑에 추가설명과 상세설명 있습니다.
APP(APPOINTED) – 지정한
@(AT) – 일정한 간격의 표시
AL(ALUMINUM) – 알루미늄
C.H(CEILING HIGH) – 천장고
C.L(CEILING LINE) – 천장기준선
CONC(CONCRETE) – 콘크리트
D(DEPTH) – 깊이
DR(DOOR) – 문
DN(DOWN) – 내림
EA(EACH) – 수량의 표시
ENT(ENTRANDCE) – 출입구, 현관
FL(FLUORESCENT LAMP) – 형광등
F.L(FLOOR LINE) – 바닥 기준선
FIN(FINISH) – 마감
G.L(GROUND LAVEL) – 지반
H(HIGH) – 높이
IL(INCANDESCENT LAMP) – 백열등
L(LENGTH) – 길이
N.S(NON SLIP) – 논슬립
O.P(OIL PAINT) – 유성 페인트
PL(PLY WOOD) – 합판
R(RADIUS) – 반지름
S(STEEL) – 강
THK(THICKNESS) – 두께
UP – 오름
V.P(VINYL PAINT) – 비닐 페인트
W(WOOD) – 목재
W(WEIGHT) – 무게
W.P(WATER PAINT) – 수성 페인트
# – 굵기
□ – 테두리(각재)
#레벨 용어
FL: 각층의 마감 레벨이며 이것이 일반적으로 각층의 기준레벨이 됩니다.
SL: 각층의 골조 레벨이며 일반적으로 FL-마감두께가 됩니다.
TOS: 철골의 상부 레벨이며 사용하는 사람의 공종에 따라 틀리지만 통상적으로 철골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. (반대로 하부 레벨은 BOS입니다.)
GL: 그라운드 레벨 지표면의 레벨인데 상대적인 경우가 많습니다.
EL: 어쓰 레벨 해발고도 어쩌고 저쩌고 할때 쓰는 용어로 해수면 높이로부터의 땅 레벨이므로 절대치수입니다.
FH: EL과 같은 의미로 보면 되지만 다른게 있다면 토목 포장 후의 계획 레벨을 말합니다.
#샤프트 공간 용어
EPS(Electrical Pipe Shaft): 전기와 관련된 배선 및 배관이 지나가는 수직 통로
TPS(Telecommunication Pipe Shaft): 통신 케이블 및 통신과 관련된 배선들이 지나가는 수직통로, 주로 전화선과 인터넷 선이 들어오는 공간
PS(Pipe Shaft): 기계설비용 배관 등이 지나가는 수직통로
다용도실이나 엘리베이터 옆 등의 PS는 난방 및 냉온수 공급 및 배출 배관
화장실에 붙어있는 PS는 냉온수 공급 및 오수배출 및 환기용 파이프 등 수직통로
ST(Smoke Tower): 급배기용 환기 덕트 공간으로 사용
엘리베이터 옆에 있다면 엘리베이터 작동시 생기는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용도
AV(Alam Valve): 소방에 관련된 시설로 소화전, 압력밸브, 스프링쿨러 관련 시설
추가로 계속 업데이트 하겠습니다.
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와 댓글 써주세요! 큰 힘이됩니다!
'건축 > 교육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도들이 이용하는 어플 (0) | 2020.08.22 |
---|---|
건축 프로그램 정리 (2) | 2020.08.21 |
건축모형 재료 (9) | 2020.08.03 |
건축학과만의 문화(오너와 시다) (0) | 2019.01.22 |
건축입시 건축학인증(5년제) (0) | 2019.01.21 |